[경기광역, 사회투자지원재단 경기도 3개 지역에서 올해 말까지 집중 검토]
자활사업단 및 자활기업의 상품과 서비스를 ‘지역관리기업’ 방식으로 전환하며 공공시장과의 연계망을 강화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 것인가?
최근 자활사업은 제도개편을 비롯하여 공공시장에서의 입지 축소 등 환경적으로 여러 지점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자활센터 및 자활사업 전문가들은 다양한 활로를 모색하며, 근로 취약계층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하기 위해서는 공공영역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라는데 인식을 모으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광역자활센터와 사회투자지원재단은 지방자치단체와의 공동생산 전략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취약계층의 안정적인 일자리와 공공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사업 조직으로 ‘지역관리기업’ 모델개발이 필요하다고 인식을 같이하고 한국사회에서 그 가능여부를 확인하며, 방법을 모색하는 사업을 공동으로 시작했다.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달한 ‘지역관리기업’은 주민자신에 의한 공동체적인 마을만들기 또는 도시재생 운동으로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 서비스제공과 공간관리를 통한 주거복지 강화, 참여민주주의를 실현하는 실험장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970년도 프랑시 루베시의 알마가르 지역의 철거대상인 주민들이 자신들의 지역과 일상을 보존하기 위해서 모이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노동자와 기독교 활동가, 사회학자, 건축가, 도시공학자들이 주민들에게 전문적인 도움을 주면서 본격화 되었으며, 프랑스 전역에 현재 140여개 지역관리기업과 8,000여명의 임금노동자가 활동 중이다.
경기광역자활센터는 경기지역 지역자활센터를 대상으로 모델개발사업에 참여할 기관을 공모했으며, 이 결과 시흥작은자리, 성남만남, 화성지역자활센터가 시범사업 주체로 선정되었다.
연구사업 총괄책임을 맡고 있는 사회투자지원재단 김유숙 팀장은 “프랑스형 지역관리기업을 만드는 것이 우리 사업의 목표가 아니다. 우리사회의 문화, 역사는 프랑스와 다르기 때문이다”며 “지역사회의 공공자산과 시설물 관리, 공익성이 높은 사회서비스 제공을 지자체와의 계약을 통해서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사회, 문화, 제도적 여건을 분석하고 이를 위해 지자체와 자활이 준비해야할 할 부분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핵심 목표”라고 이번 사업의 취지를 설명했다.
'요즘은-재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투자지원재단] 사회적경제 조직리더과정 (성남시와 공동 진행) (0) | 2014.08.01 |
---|---|
[선착순 모집] 사회적회계 훈련과정 교육생 모집 (0) | 2014.07.16 |
광진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준) 광진구 사회적경제 지역전략 수립을 위한 워크숍 시작 (0) | 2014.07.16 |
지역자원조사방법론으로 어떻게 지역의 새로운 의제를 찾을까? (0) | 2014.06.25 |
[사회투자지원재단, 중앙자활센터] 자활종사자를 위한 협동조합 전문가 양성과정 개최 (0) | 2014.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