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자료(연구자료 등)

강원지역 청소 사회적기업 신규 공공시장 확대를 위한 조사 연구 보고서 발간

사회투자지원재단 2012. 2. 2. 11:18

강원지역 청소 사회적기업 신규 공공시장 확대를 위한 조사 연구 보고서 발간

 

 

 

강원지역에는 13개의 청소 자활공동체와 사회적기업이 운영되고 있다. 이들 사회적기업은 2006년부터 교육과학부의 [깨끗한학교만들기사업]을 수행해오면서 저소득층에게 신규일자리를 창출해왔다. 그러나 2011년부터 예산이 목적사업비에서 학교운영비로 변경되면서 안정적이고, 보호된 시장 환경에 변동이 일어났다. 언제든지 학교장의 재량권에 의해 계약체결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청소사회적기업에 고용되어있는 취약계층 수백명의 일자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는 경제조직이다.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을 비롯하여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필요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이 우리 사회에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시장을 분석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사회적기업의 활성화를 위해 꼭 필요하다. ‘강원지역 청소 사회적기업 신규 공공시장 확대를 위한 조사 연구’는 안정된 시장이 변화되는 속에서 강원지역 청소 사회적기업이 우리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이후 지역사회의 필요를 어떻게 찾아내고, 실현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강원지역 청소 사회적 기업의 운영현황을 조사한 결과, 청소 사회적기업 종사자는 근무이전보다 근무 이후에 기술능력과 재정적 여건에 많은 긍정적 변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반면, 사회적기업으 조직적, 고용적, 재무적 현황은 녹녹치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대상 강원지역 청소 사회적기업의 제도적 형태는 사회적기업 4곳, 예비사회적기업 5곳, 자활공공체 5곳으로 구성되어있다.

 

청소 분야 공공영역 사업 환경 분석은 2011년 나라장처에 입찰 공고된 강원도 청소 용역 자료와 강원도 광역자치단체와 3개 강릉, 춘천, 영월등 3개 기초자치단체의 2011년 성과예산서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강원도와 3개 기초자치단체(강릉, 춘천, 영월)의 공공시설은 무기계약근로자, 기간제근로자, 공공근로 또는 직원들이 일상적인 청소를 수행하고 있으며, 외벽, 바닥, 유리청소, 소독, 물탱크 청소 등에 대해 외부용역을 주고 있다. 계약방식은 경쟁입찰보다는 수의계약방식을 취하고 있다.

 

청소분야 공공역역 사업환경 분석과 강원지역 청소 사회적기업의 사업영역 분석을 통하여 공공시장 개발 분야로 ① 깨끗한 강원도, 다시 오고 싶은 강원도는 ‘아름다운 화장실에서’-공중화장실 청소 ② 깨끗한 강원도 이미지 극대화를 위한 ‘버스승강장 청소’ ③ 소규모 공공시설의 전문적인 청소 관리 계약 확대 ④ 환경지킴이를 통한 사회서비스 강화를 제안하였다.

 

마직막으로 청소 사회적기업의 신규공공시장 확대를 위한 주체역량강화와 지방정부의 제도적 지원환경조성 방안을 전략으로 제시하였다. 주체역량강화를 위해서는 ① 전문인력의 확보 ②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강화 ③ 청소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강화 ④ 청소 사회적기업 공동브랜드화를 제시했다. 지방정부는 청소 사회적기업의 육성을 위해 ① 공공기관 우선구매 촉진 ② 단기적 일자리 중심에서 장기적인 일자리 정책으로의 전환 ③ 공공시설의 관리를 국민의 자산관리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 ④ 공공계약 입찰방식의 변경을 통한 건강한 사회적 기업의 육성 등의 제도적 지원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